인도 여행을 준비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 중 하나는 비자입니다. 비자가 필요한지,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지에 따라 준비해야 할 서류와 절차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이 글을 읽으면 인도에 갈 때 비자가 필요한지,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시간을 절약하고 불필요한 걱정도 덜 수 있을 거예요.
인도 무비자 입국 가능할까?
아니요. 한국 여권 소지자는 인도에 무비자로 입국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인도를 방문하려면 반드시 비자를 사전에 발급받아야 합니다.
일반 여권 소지자는 도착비자를 신청하거나 사전에 비자를 발급받아야 인도에 입국할 수 있습니다.
인도 비자 발급 방법
사전에 비자를 발급받으려면 인도 대사관이나 e-Visa 시스템을 이용해 비자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관광, 비즈니스, 회의, 의료 등의 목적에 따라 신청 절차가 다르므로, 목적에 맞는 비자를 선택해야 합니다.
인도 도착비자 발급 안내
인도는 특정 공항에서 도착비자를 발급해주고 있으며, 도착비자를 통해 입국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지 상황에 따라 도착비자 발급이 중단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전 비자를 발급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도착비자 발급 가능한 공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델리
- 뭄바이
- 첸나이
- 콜카타
- 방갈루루
- 하이데라바드
이 외의 공항에서는 도착비자를 발급받을 수 없으니, 해당 공항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인도 도착비자는 아래 조건에 맞는 경우에만 발급됩니다.
- 관광, 비즈니스, 회의, 의료 목적으로만 도착비자가 발급됩니다. (연구, 유학, 취재, 종교 목적의 입국은 도착비자로 불가)
- 최대 60일 동안 체류할 수 있으며, 더블엔트리 비자이므로 60일 내에 한 번 더 출입국이 가능합니다.
- 수수료는 2,000루피 또는 최대 40달러 상당의 현금으로 지불해야 합니다.
인도 입국 시 유의사항
인도 입국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항공권과 여권: 출국하거나 공항에 입장할 때는 반드시 항공권과 여권을 제시해야 합니다.
- 비자 소지 필수: 발급받은 비자는 입국심사 시 제시해야 하며, 이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입국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 드론 및 전자담배 금지: 드론은 허가 없이 반입 및 반출할 수 없으며, 전자담배는 반입 시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도 무비자 입국 가능할까? 인도 비자 필요여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일반 여권 소지자는 인도에 무비자로 입국할 수 없으며, 반드시 비자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인도 도착비자는 특정 공항에서만 발급 가능하며, 관광, 비즈니스, 회의, 의료 목적으로 최대 60일 동안 체류할 수 있습니다.
인도 관광비자를 준비한 후, 인도의 다양한 문화와 역사적인 유적을 즐기며 멋진 여행을 계획해보세요!